“단테는 내면의 길에 지름길은 없으며, 모든 개인이 삶의 태도에 있어서 변화를 진심으로 원한다면, 자신의 지옥을 반드시 통과해야만 한다는 것을 우리가 이해하기를 원한다.” - 단테와 융 서문 중에서
운명적인 이끌림에 의해 29년이라는 교직 생활을 그만두고 지금은 그림 작업을 통해 삶을 탐구하고 이해하려는 탐구자로서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마음은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지만 우리의 생각, 행동, 삶을 좌우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보이지 않는 세계를 표현하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예술가들과 단테와 융과 같은 선지식들이 있었기에 저도 그 길을 외롭지 않게 두려움을 이겨내며 걸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림을 그리는 일은 저에게 마치 구도와 같았습니다. 그림 하나하나를 완성해 나가는 과정은 너무나 느렸고, 각 그림은 혼돈에서 질서를 찾아가는 지난한 과정의 반복이었습니다. 마음을 표현하는 일이기에 단순하게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아니라, 그림이 바뀌기 위해서는 내면의 풍경도 바뀌어야 했습니다.
어느 순간 손잡이가 없는 문 뒤에 갇힌 것 같았던 우울함이 저를 힘들게 했습니다. 문 그림 이후로 한동안 그림을 그릴 수 없었습니다. 때때로 올라오는 이해할 수 없이 애매하고 혼란스럽고, 조절 안 되는 감정들은 어디에서 비롯되는 것인지 알고 싶었고 진심으로 제 삶의 변화를 원했습니다.
이번 전시는 푸른 문을 중심으로 그 이전에 그린 그림과 그 이후에 그린 그림들로 나누어집니다. 지금에서야 ‘푸른 문’ 이전에 그렸던 저의 그림이 이해됩니다. 그러한 작품을 할 수밖에 없었구나. 현재가 있게 해준 과거, 과거를 이해할 수 있는 현재의 작업이라는 생각에 과거의 작품들과 문 이후에 새롭게 작업한 작품들을 함께 전시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기도와 성찰, 그리고 단테의 신곡을 통해 만났던 마음의 풍경을 유화 작업 25여점, 드로잉 50여점, 영상 작업, 퍼포먼스 등 다양한 장르를 통해 어두운 숲에서 생명력를 찾아가는 여정을 표현해보자 했습니다.
제가 닫힌 문을 열고 저의 지옥을 통과하여 생명력을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해 주신 홍선미 비아 봉사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이번 전시를 통해, 자신의 약함, 두려움, 고통으로부터 자신의 마음을 회복하고 치유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전시의 흐름은 단테의 신곡의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해 보았습니다.
전시 1부 : 난 어두운 숲에 처했었네
전시 2부 : 내 작은 배는 돛을 활짝 펼친다.
전시 3부 : 부활, 이미 아직은 아닌
Artist Statement
"Dante wants us to understand that there are no shortcuts on the inner path, and that if a person truly wishes for a transformation in their attitude toward life, they must inevitably pass through their own hell."— From the Preface of Dante and Jung
Compelled by a fateful inner calling, I left behind 29 years of teaching to pursue the path of an explorer—an artist seeking to understand and contemplate life through painting.
The mind is invisible, yet it governs our thoughts, actions, and the way we live. I believe that it is only through the tireless efforts of artists who have striven to express this unseen realm—and through the wisdom of pioneers like Dante and Jung—that I have been able to continue along this path, not without fear, but without feeling alone.
For me, painting has become a form of spiritual practice. Each work unfolds slowly, mirroring the laborious journey from chaos toward order. Since I aim to express the inner landscape of the heart, the act of painting is never just about putting brush to canvas—it demands an inner transformation as well.
At one point, I was overcome by a depression that felt like being trapped behind a door with no handle. After painting The Blue Door, I found myself unable to paint for a while. I wanted to understand where these vague, overwhelming, and unmanageable emotions came from—and I sincerely desired a change in my life.
This exhibition is divided into two parts: works created before The Blue Door, and those created after. Only now do I truly understand the works I painted before The Blue Door.
I realize now—I had to create those works. They were necessary steps. The past made the present possible, and the present helps me reinterpret the past. That is why I chose to exhibit older and more recent works together.
Through this exhibition, I have tried to depict a journey from the dark forest toward vitality—through prayer, reflection, and the emotional landscapes I encountered in The Divine Comedy of Dante. The show includes around 25 oil paintings, 50 drawings, as well as video and performance works, each expressing different moments of the soul’s path.
I would like to express my deep gratitude to Hong Sun-mi, a Via volunteer, who guided me to open the closed door and walk through my own hell to rediscover life’s vitality.
I hope this exhibition offers solace and encouragement to those who seek to recover and heal their hearts from their own vulnerabilities, fears, and suffering.
The exhibition unfolds in three parts, reflecting the journey described in Dante’s Divine Comedy:
Part I: I found myself within a dark forest.
Part II: My little boat spreads its sails.
Part III: Resurrection—already, and not yet.